티스토리 뷰
카테고리 없음
"식물의학<과제명>1. 벼도열병, 세균성벼알마름병, 고추탄저병, 오이바이러스병, 배나무붉 은별무늬병의 병징, 전염경로, 전염경로에 따른 방제법을 각각 설명 하시오(50점).2. 담배가루이..
잘되자 2020. 6. 4. 18:49식물의학<과제명> 1. 벼도열병, 세균성벼알마름병, 고추탄저병, 오이바이러스병, 배나무붉 은별무늬병의 병징, 전염경로, 전염경로에 따른 방제법을 각각 설명 하시오(50점). 2. 담배가루이와 온실가루이의 형태적 특징, 발생생태, 기주 및 피해, 방제법을 설명하시오(20점).<과제 작성 시 지시사항> - 아래한글, MS word로 작성할 것 - 글자크기 11pt, 줄간격 160%, 작성 분량 A4기준 6매 내외 - 병징과 전염경로는 각각 10줄 내외로 요약, 전염경로에 따른 방제법을 평가 시 중점적으로 평가 할 것이며 예시 내용을 참고하여 작성 바람. - 각 병별로 1 page 내외로 작성하고 연이어서 새로운 병을 작성 시 에는 2줄을 띄울 것. - 표절 판정 시 감점되거나 “0”점 처리될 수 있음. 예시) 1) 병징 2) 전염경로 3) 전염경로에 따른 방제법 가) 세균성점무늬병은 종자전염 - 무병종자 또는 무병지에서 채종하여 종자전염 방지 - 종자오염이 예상 시에는 종자 소독하여 병원균을 살균한다. 나) 세균성점무늬병은 토양전염 - 다조멧,.. 등으로 토양소독을 하여 병원균의 밀도를 줄인다. - 기주가 아닌 작물을 3-5년 윤작으로 병원균의 밀도를 줄인다. 다) 분얼기 야간저온, 질소질비료 과용시 발병이 심함 - 질소나 녹비의 과용을 피한다. - 찬물은 수온을 올리고, 물은 얕게한다. 라) 메트코나졸 등으로 약제방제를 한다.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