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간호연구강의 9강,10강,11강,12강(과제물 문항별 별도 표기) [과제물 작성 시 지시사항]◆ 본 과제의 주요 목적은 기본적인 간호통계를 잘 이해하기 위한 것입니다. 출석 (면대면) 수업을 통하..
잘되자 2020. 5. 6. 00:32간호연구강의 9강,10강,11강,12강(과제물 문항별 별도 표기) [과제물 작성 시 지시사항]◆ 본 과제의 주요 목적은 기본적인 간호통계를 잘 이해하기 위한 것입니다. 출석 (면대면) 수업을 통하여 실제로 연습 과정을 거치는 것이 꼭 필요하나, 코로나 사태로 인하여 부득이 과제물로 대체하오니, 반드시 제시된 강의를 시청하시도록 권유드립니다. 이는 문제를 충분히 이해하고 답을 쓰기 위함입니다. ◆ 필요한 경우, 답만 쓰지 마시고, 답이 나오게 된 과정을 적어 주시기 바랍니다.◆ 각 문제 마다 필요한 강의 차수와 교과서 쪽수를 표기하였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 ※ 이번 출석수업 대체 과제물에서는 가급적 쉬운 부분에서만 출제하였습니다. 이 어려운 시기에 일선에서 큰 힘을 보태고 있는 여러분! 더욱 힘을 냅시다. 1. 괄호 안을 채우시오. (2점, 각 0.5점) 모집단의 특성을 수치로 나타낸 것을 ( )라 하고, 표본의 특성을 수치로 나타낸 것을 통계량이라고 한다. 모집단에서 계산된 산술평균은 ( )로, 표준편차는 σ 로 나타내며, 표본에서 계산된 산술평균은 ( )로, 표준편차는 ( )로 나타낸다.※ 강의 9강; 교과서 199~200쪽2. 서술통계와 추론통계를 비교·설명하시오. (2점).※ 강의 9강; 교과서 198~199쪽3. 다음 변수의 척도수준 (명목, 서열, 등간, 비율)을 쓰시오(4점)① 성별② 체중③ 자존감 (높다, 보통이다, 낮다)④ 온도※ 강의 9강; 교과서 200~206쪽4. 상관계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 있는 대로 고르시오. (2점)① 상관관계 ‘0’은 두 변수 사이에 관계가 전혀 없음을 말한다.② 상관계수의 절대값 숫자가 클수록 더 밀접한 관계임을 나타낸다.③ 상관계수의 부호는 관계의 방향을 나타낸다.④ 0에서 +1사이의 값으로 표시된다.⑤ A 연구의 상관관계가 –0.9, B 연구에서의 상관관계가 +0.3일 경우 B 연구의 상관관계가 더 크다. ※ 강의 11강; 교과서 247~249쪽5. 바람직한 신뢰구간은 신뢰구간의 폭은 좁아야 하고, 좁은 구간에 모집단의 산술평균이 들어갈 신뢰도가 높은 신뢰구간을 의미한다. 바람직한 신뢰구간을 가지기 위해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인가? (2점) ※ 강의 12강; 교과서 264~265쪽6. 괄호 안을 채우시오. (각 번호당 2점, 총 14점) ①A 학생의 통계학 점수가 80점이고, 이 점수 위에 전체 사례의 15%가 있다면 이 학생의 백분위는 ( )이고, 백분위 점수는 ( )점이 됨 ※ 강의 9강 마지막 부분; 교과서 220쪽② 한 변수의 측정값들이 평균 주위에 평균적으로 얼마나 펴져 있는가를 나타내 주는 통계량 중 각각의 관찰값과 평균과의 편차 (거리)를 제곱하여 평균을 구한 것을 ( )이라 하며, 이것의 제곱근을 ( )이라 한다.※ 강의 10강; 교과서 228~229쪽③ 표준정규분포는 모든 정규분포를 평균이 ( ), 표준편차가 ( )이 되도록 표준화 한 것이다. ※ 강의 11강; 교과서 241쪽④ 특정 모집단으로부터 일정한 크기의 무작위표본을 모두 추출하여 이 표본들의 평균을 그림으로 나타낸 분포를 ( )라 하며, 이 분포의 표준편차 즉, 표본평균들이 모집단의 평균 주위에 퍼져있는 정도를 ( )라 한다. ※ 강의 11강 (추론통계의 개념); 교과서 258~261쪽⑤ 단일 모집단의 평균을 추정할 때 모집단의 표준편차를 아는 경우 Z-분포표를 이용하고, 모집단의 표준편차를 모르고, 표본의 수가 작을 때는 ( ㉠ )를 이용한다. ㉠을 이용할 때는 유의수준과 ( ㉡ )를 알아야 하는데, ㉡은 자료집단의 변수 중에서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는 변수의 수로 n-1과 같다. ㉠과 ㉡에 알맞은 단어를 쓰시오. ※ 강의 12강; 교과서 264~267쪽⑥ 모수에 대한 예상, 주장 또는 추측 등을 가설이라고 하는데, 이때 직접 검정의 대상이 되는 가설을 통계가설이라 한다. 통계가설은 귀무가설 또는 ( )이라고 하며 기호로는 ( H0 )로 나타낸다. 반면, 실제 연구자가 입증하고자 하는 가설은 연구가설 또는 ( )이라 하며, 기호로는 ( H1 )이라고 나타낸다. ※ 강의 12강; 교과서 272~274 쪽 ⑦ 가설검정을 할 때, 사실이 아닌 귀무가설을 기각하는 결정을 ( 검정력 )이라 하고, 옳은 귀무가설을 기각하는 오류를 ( )하며, 귀무가설이 틀렸는데도 옳은 것으로 받아들이는 오류를 ( )라 한다. ※ 강의 12강; 교과서 277~279쪽◆ 다음 문제의 답을 구하시오. 7. 간호학과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간호연구와 성인간호 시험을 본 결과 성인간호와 간호연구의 평균점수는 60점으로 동일하였으나 표준편차는 성인간호 10점, 간호연구 5점이었다. 그리고 L 학생의 점수도 성인간호와 간호연구 모두 70점으로 동일하였다. ① L 학생의 성인간호 점수와 간호연구 점수를 각각 표준점수로 고치시오 (1점). ② L 학생은 성인간호와 간호연구 중 어느 과목을 더 잘했습니까? (1점) ※ 강의 10강 (표준점수); 교과서 235~236쪽8. A 대학병원에 입원하는 환자들의 간호에 대한 만족도를 설문지를 이용해서 조사했더니 모집단의 평균 200점, 분산 50점으로 나타났다. n을 10으로 하여 표본을 뽑을 때 그 표본분포의 평균과 분산은? (2점) ※ 강의 11강 (추론통계의 개념); 교과서 258~259쪽